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미쯔비시 PLC GX-Work2 프로젝트생성 Setting CC-Link 설정
    PLC 2022. 4. 22. 10:54

     

    1. New Project 생성

     

     

     

    2. Parameter 설정

     

     

     

     

    PLC Parameter 를 더블클릭하면 창이 하나 팝업된다

     

    이 팝업창에서 Parameter 를 설정한다

     

     

     

     

     

    PLC File 설정

     

    File Register 항목에서 마지막 항목을 체크하고 CPU 용량에 맞는 설정을 해준다.

     

    - R Resister 는 파일 레지스터로 전원이 Off 되어도 보조전원으로 기억되는 레지스터이다(비휘발성)

     

     

     

    Device 설정

     

    -앞에서 지정한 R 레지스터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각각의 디바이로 할당한다.

    -총합이 설정량을 넘어가면 설정 에러가 발생한다

    -각탱베서 회색부분은 수정할수 없는 부분을 의미한다

    -sym :Symol을 의미한다. 각 디바이스의 명칭을 표기한다

    -dig : 디바이스의 영역을 의미한다 X의 경우 16점 M의 경우 10점을 의미한다.  프로그램설계상 필요한 각각의 디바이스 점수를 할당한다

    -Latch : 전원이 Off되어도 기억되는 DATA영역을 설정한다 

    D레디스를 제외한 모든 디바이스는 전원 Off시 DATA는 소실된다. D레지스터의 데이터 클리어는 GX Work 에서 메모리를 Clear 하던지 PLC CPU의 Reset 스위치를 사용하여 클리어 한다. (Latch 기능을 사용함으로 전원 Off 되어도 DATA는 소실되지 않는다)

     

     

     

    각 디바이스의 정리

     

    X 디바이스 : Input Signal (CPU 외의 Unit 에서 CPU로 들어가는 모든신호)

    Y 디바이스 : Output Signal (CPU에서 외부의 Unit으로 보내는 모든신호)

     - X,Y 디바이스는 I/O 디바이스지만 프로그램내에서 단순하게 내부 릴레이처럼 사용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프로그램 판독이 어려워지므로 최대한 규칙을 지키는게 좋다

    M 디바이스 : 내부 릴레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Bit 를 사용한다 On/Off 기능

    L 디바이스 : M 디바이스와 비슷하다 기본으로 Latch 기능이 있다.

    F 디바이스 : M 디바이스와 비슷하다. 특수목적으로 사용하기위한 명칭만 다르다.  대부분 M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T 디바이스 : Timer 디바이스 . 타이머 역활로 사용한다

    C 디바이스 : Count 디바이스 . 카운터 역할을 한다. 

    D 디바이스 : DATA 디바이스로 16Bit (1 Word) 단위로 구성된다. 이를  Bit 단위로 쪼개어 사용도 가능하다. 역으로 Bit 단위 디바이스 (M)도 Word 단위로 묶어 사용 가능하나 불편하다.

     

     

     

    각각의 프로그램을 등록하거나 삭제한다.

     

    이는 초기화면으로 MAIN 프로그램 하나밖에 없다.

     

     

     

     

     

    장비에 적용중인 화면이다. 각 Unit 별로 구분지어 프로그램을 한다.

    한 프로그램으로 모두 구성해도 가능하지만 판독이 어려워진다.

     

    각 프로그램을 PLC 구동에 적용하려면 Insert 버튼을 눌러 PLC 구동시 해당 프로그램이 Scan 되도록 설정한다.

    해당 프로그램을 무시하려면 Delete 버튼을 눌러 무시한다. 이때 실제 프로그램이 삭제되는것이 아니고 Scan되는 항목에서만 삭제가 된다.

     

    I/O assignment

     

    PLC 와 On_Line 된 상태라면 READ PLC DATA를 클릭하여 현재의 PLC 상태를 읽어와도 무방하다. 

    이 경우 I/O Assignment 와 Base Setting 부의 설정은 자동으로 되나 그외 I/O 할당부분을 직접해줘야 한다.

     

    PLC Input/Output 설정을 한다.

    I/O Assignment 에서는 CPU와 다른 각각의 모듈을 등록하는 곳으로 베이스 기판의 Slot 순서대로 등록하면 된다.

    실제 Base 기판을 보면 CPU자리는 Power 바로 옆으로 고정자리이다.

     

    Type 항목

    해당 모듈의 Type 을 설정하는 곳으로

    Empty : 빈슬롯을 의미한다. 모듈이 장착되었더라도 사용치 않을시 Empty 로 설정하면 된다.

    Input : 입력모듈을 의미한다.

    Output : 출력 모듈을 의미한다.

    I/O mix : 입출력 모듈 통합을 의미한다.

     

    Intelligent : 지능적인 모듈을 의미한다.  대부분 PLC 모듈은 여기에 속한다. Serial 통신 유닛, 모터제어 유닛, 이더넷 통신유닛 등등.. 기본할당점수는 32점이다.

    Interrupt : 인터럽트 Type모듈을 의미한다. 해당 유닛이 활성화 되면 타 유닛을 중지시키는 Type 을 의미한다.

     

    Mdel Name : 모듈이름을 의미한다. 

    Point : 해당 유닛이 가지는 I/O 점수를 의미한다.  입력점수는 각각의 모듈에 맞는 입력점수를 기입해줘야한다. 이를 상이하게 입력할시 번지가 맞지 않는다. / Intellignet 는 32점에 속한다.

     

     

    적용된 화면이다. 12번 Slot 의 Input은 64점의 점수를 가진다.

    실제 사용점수는 40점이나 16의 배수로 할당되므로 64점이 할당된다.

     

    이렇게 Type 과 Model Name Point 를 할당한뒤 Switch  Setting 을 한다

     

     

    1 Slot 의  QJ71C24-R2 는 RS232통신 모듈로서 두개의 통신포트를 가진다.

    2 Slot 의 QJ71C24 는 RS232와 RS485 통신 모듈로서 각각 한개씩의 통신포트를 가진다.

     

     

     

    현 장비설정 : 1 Slot > 4형식의 MC 프로토콜 사용 (CH1,CH2 동일 사용)

                      2 Slot > 무수순 프로토콜 사용 (CH1,CH2 동일사용)

     

    스위치 5의 설정값

    -. 국번 설정용 CH1, CH2 공통)

    -. MC 프로토콜에 의한 교신용 설정

    - 상대 기기와 1:1 접속의 경우 0 으로 설정 (현재 설정 : 0 )

     

    Detailed Setting : 각 모듈의 세부 결정 사항이다.

     

     

    현재 설정을 토대로 각 모듈별 선두 Adress 를 확인할수있다.

    한 모듈이 32점을 할당받음으로 X번지는 20단위씩 할당 받은것을 볼수있다.

     

     

     

     

     

    CC-link 설정

     

     

     

    상단의 No. Of Boards in module 는 CC-Link 모듈에서 Board 유닛 모듈 > QJ61BT11 의 개수를 지정한다. 

    -Start I/O No : 해당 모듈의 선두 Address 를 지정한다.

    -Type : 해당 모듈의 Type 을 지정한다.

     Master Station : CC-Link Master Borad 를 의미한다.

    -Master Station DATA Link Type : DATA 통신연결방법

    -All Connect count : CC-Link 에 연결된 국의 개수

    -Remote Input (RX) : X200 > 실제 Input 선두 디바이스 번호

    -Remote Output (RY) : Y200 > 실제 Output 선두 디바이스 번호

    -Remote Rehister (RWr) : 입력부 처리 DATA 레지스터 (마지막 소문자는 READ로 보면된다)

    -Remote Resister (RWw) : 출력부 처리 DATA 레지스터 (마지막 소문자는 Write 로 보면된다)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나 프로그램에서 해당 D 레지스터 값을 변경시키면 안된다.

      CC-Link 도 디바이스넷처럼 1회 스캔에 I/O DATA 를 묶어 전송하여 Master 모듈에서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때 I/O DATA 를 가공할때 D 레지스터를 사용한다. 따라서 이 값을 임의로 변경시 당연히 I/O 오류가 발생한다. 프로그램에서 변경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아한다.

    -Retry count : 오류발생시 재전송 횟수를 의미한다

     

     

    Station Information 클릭 (파란색)

     

    -Remote I/O station :  각 I/O 를 주고받는 단말기를 뜻한다. 이전화면에서 설정한 All Connect count 의 수에따라 위 화면에서 설정가능한 국의 개수가 정해진다.

    -Station No : 국번호 > 해당 단말기에서 스위치로 설정한다.

    -Exclusive station count : 각 station 에 점유된 국의수 (국의 수를 설정한다기보다는 해당 모듈의 할당점수를 설정하기 위함이다. 1개 점유시 32점 / 2개 64점 3개 96점 4개 128점  실례로 단말기에서 주고받는 I/O 의 개수가 128개인것도 있다. 이를 위한 설정탭 수치를 변경시키려면 Remote station point 가 변경된다.

    -Reserve/invalid station select : 예약국, 고장설정 > 해당 설정을 하게되면 해당 단말기는 건너뛴다.

     

     

     

     

     

    지금까지 설정을 토대로 XY 할당 어드레스를 확인할수 있다.

    CC-Link Slot 1 의 X값은 200으로 이는 CC-Link 설정에서 선두 X값을 200으로 설정했기 때문이다. (Y값도 200이다. 이는 한 Stattion 에서 할당 가능한 점수가 32점으로 실제 16점 Station 을 사용했기 때문에 XY 가 연속으로 할당되도록 32점설정하기 위함이다.

    위와같이 설정하면 Y는 200부터 시작이지만 실제 Y220부터 출력 Station이므로 맞아 떨어진다. 이때 X220은 사용하지않지만 설정한 이유는 다음 Station 번지를 맞추기 위해 설정한것이다.

     

     

    ON-Line 설정 Connction 을 더블클릭 & Transfer Setup

     

    PLC 와 컨트롤 PC 와의 연결방법을 설정한다. USB Type 으로 설정

    연결방법은 USB , Serial , Ethenet, CC-Link 연결방법이 있다.

     

     

    Diagnostics (진단)

     

    PLC 이상 발생시 현재 창에서 확인 가능하다. Present Error 에서 에러 번호와 에러 메세지가 뜬다.

    이를 토대로 Help > PLC Error 에서 확인 가능하다.

    (PLC > PC 와 연결되어있어야 화면을 띄울수있다.)

     

     

    PLC 각 모듈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수 있다. 

    위창의 Installed status 에서 베이스 보드에 장착된 모듈의 이름을 확인한다.

    Parameter Status 에서 설정한 상태를 볼수있다.  Parameter 설정에서 입력한 Name 이 그대로 사용된다 

    선두 I/O 확인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I/O Address 에서 CPU 부분은 회색으로 아무런 값이 없다. 이는 CPU 와 외부 모듈간 통신에 사용되는 XY Address 이므로 CPU 는 해당사항이 없다.

    CPU 를 제외한 다음 모듈부터 차례대로 0>20>40 의 순으로 증가한다.

    한 모듈의 할당 점수를 32점으로 할당했기 때문이다. 32점 > 16점씩 20단위 (16진수 20)

    선두 I/O 는 매우 중요하다.  PLC 에서 외부 모듈과의 DATA 통신이 모두 이 I/O 를 사용한다.

    'PL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쯔비시 PLC 단축키  (0) 2022.04.29
    미쯔비시 PLC 명령어 (BKCMP)  (0) 2022.04.27
    ST 언어 복습해보자(1)  (0) 2022.04.13
    ST 언어 .Q판정 (액션)  (0) 2022.04.13
    Structured Text ST 언어를 알아보자 (기초3)  (0) 2022.04.08

    댓글

Designed by Tistory.